카테고리 없음

주산과 암산 배우기

닉네임은 사용하지 않습니다. 2018. 5. 10. 01:02

주산과 암산 배우기


어릴 적에 주판으로 주산을 배웠던 기억 있으시죠? 저도 주판으로 주산을 배웠던 기억이 흐릿하게 납니다. 아니요. 주판은 확실히 기억합니다. 그걸 타고 놀았죠. 그런데 지금 후회합니다. "그 때 정말 열심히 할 걸." 그러나 인간은 누구나 후회를 합니다. 후회하지 않기 위해선 오늘에 최선을 다해야겠죠. 과거가 악몽이자 되돌려야 할 시간이 아니라, 추억과 아름다움으로 남겨져야만 가치 있는 인생을 살았다고 할 것입니다.


얼마 전에 주산학원에 다니기 위해 전화를 걸었습니다. 초등학생들이 많다고 하더군요. 가끔 어른들도 오지만, 어른들은 나오다가 안나온다고 합니다. 저도 그래서 나가지 않았습니다. 그리고 독학해도 될 것 같아서 주판을 구입했습니다.


어느 순간부터 전화번호 외우는 것을 귀찬게 생각하고 어렵게 생각하게 되었습니다. 그만큼 우리는 편리한 생활에 편리함만을 추구하지 않고, 나태함까지 추구해버리고 있는 것 같습니다. 그래서 무언가 노력하고 창의적인 걸 하기보단 쉽게 돈을 잘 벌 수 있는 직업을 찾는 것 같습니다. 그것이 불법적인 일이라도 말이죠. 만약 부모님들이 이 글을 보신다면, 아이들에게 "공부해서 훌륭한 사람이 되어야 한다"고 말씀하신 뒤에 "돈을 많이 버는 직업이 최고"라고 말씀하신다면 그 아이는 올바르게 성장할 수 없게 됩니다.


아이는 부모의 것이 아닙니다. 그들은 그들의 인생을 살아야 합니다. 그리고 그들이 올바른 방향 그들이 원하는 것을 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이 부모입니다. 다른 자식과 비교했을 때 뿌듯함을 느끼기 위해 자식을 키우는 것인지 다시 생각해 볼 필요가 있습니다. 제가 자식이기에 더욱더 잘압니다.


저는 생각했습니다. 그 힘든 시절이라고 말씀하시던 어른들. 누구는 그 힘든시기에도 엄청난 성공을 일궜고, 누군가는 매일 세상을 탓하면서 한 방을 노리는 어른이 되었습니다. 그들의 차이는 바로 환경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리고 부모의 지원. 그 지원이란 물질적인 것보다 믿음이라는 정신적인 지원이 더더욱 좋은 결과를 가져왔으리라 봅니다.


열심히 공부해서 대학가면 그것보다 중요한 것은 어린 나이에 창의력을 길러주는 것들을 알려주는 겁니다. 학교에선 배울게 없습니다. 학교에선 그냥 적당하게 아이들에게 점수를 잘 받게해서 좋은 대학에 보내서 사회 시스템 안에 잘 정착할 수 있도록 만드는 기관이라 생각합니다. 만약 학교가 모든 사람들을 환골탈태하고 좋은 인재를 육성하는 곳이라면 왜 학교에서 폭력과 잘못된 길이라는 문제가 발생합니까?


제 나이 30살 초반, 제가 아버지가 된다면 아이에게 "돈"이 아니라, 이 세상을 보여주고 싶습니다. 그래서 전 어린 시절에 창의적인 것들을 많이 알려주고 싶습니다. 이 세상의 모든 진리가 담겨져 있는 책. 그리고 암산 등 학교에서 알려주지 않는 것들을 알려주고 싶습니다.


아이들은 뛰어 놀아야 합니다. 그래야만 갖혀있는 사고를 가지지 않게 됩니다. 어느 순간 스스로의 길을 찾게 되거나 의문을 가질 때 그 때 빛을 바랄 수 있는 고기 잡는 법을 미리 알려주는 것입니다. 제가 30살이 되어서 깨달았던 것을 그 아이에겐 빠르면 10대 후반 늦어도 20대 초중반에 알게 하고 싶습니다. 그럼 저는 그로서 부모의 도리는 다 한 것이라 봅니다.


"다른 엄마들도 다 가르친다는데 나도 가르쳐야지." 도대체 그 아이는 무엇을 위해 그걸 배워야 합니까? 한국에서 돈을 잘 버는 아이가 되기 위해? 여러분들도 부모이기 전에 자식이였습니다. 그리고 지금 아이를 위해 본받을 부모님의 행동을 하고 계신지 스스로 물어야 합니다. 


책을 보라고 하면서 스스로는 책이 아닌 종편방송에 빠져서 웃으면서 아이가 공부안하면 혼내면서 정작 자신은 배우려는 시작조차 안하는. 만약 그런 부모라면 바꿔야 합니다. 돈벌게 하려고 아이를 낳았습니까? 돈을 많이 벌게 하는게 행복한 것이라고 아이에게 무언가를 가르칩니까?


좋습니다. 물질적인 것이 행복이라면 OECD국가 중에 우리나라는 경제 10위권에 있습니다. 그러나 행복지수는 꼴지입니다. 10대 자살률 1위입니다. 이혼률 1위입니다. 경제는 10위권인데 왜 행복하지 않을까요? 이것은 즉 "물질"은 절대 "행복"을 만들 수 없다는 것입니다. 사람의 마음까지 사람의 마음이 돈으로 바뀐다면, 그건 행복이 아닙니다. 행정(情)이겠네요.